- map 함수 : 말 그대로, 매핑(mapping) 을 도와주는 함수
> 형식 : map(함수, 리스트) or map(함수, 튜플)
ex) a = [1.2, 2.5, 3.7, 4.6]
a = list(map(int, a))
>> a = [1, 2, 3, 4]
> 왜 함수라고 표현할까?
- 실제로 해당 함수에 값을 집어넣기 때문!
ex) map(int, a) -> int(a) 연산을 한다!
> 반환형식은? : map 이라는, "자료형"을 반환한다!
- 따라서, map(int, a) 이런식으로만 할 경우, 제대로 된 실제 값을 확인하지 못함
- 반드시, list, tuple 등으로 처리했을 경우에만 매핑 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
- seaborn 함수
> 의의 : 데이터를 더 잘 시각화하여 표현하기 위함
>
'기계학습 > 자연어 처리 머신러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STM 실습 - 로이터 뉴스 분류기 (0) | 2020.02.12 |
---|---|
RNN 실습 - 스팸메일 분류기 (0) | 2020.02.12 |
글자레벨 번역기 코드 - 딥러닝을 이용한 자연어처리 입문 (0) | 2020.01.31 |
GRU, ELMO - 딥러닝을 이용한 자연어처리 입문 (0) | 2020.01.28 |
LSTM - 딥러닝을 이용한 자연어처리 입문 (0) | 2020.01.28 |